국어국문학과
학과소개
- 교과과목
-
국어학발달사와 연구사를 교육내용으로 하는 강의이다.국어의 형식면인 음운을 대상으로 하여, 그 개념, 조직, 법칙, 어조 문제를 연구한다.시조, 가사 및 기타 15세기 이후 19세기까지의 시가를 대상으로하여 한국시의 전통, 역사적 흐름, 주요양식, 시적 특질, 대표적 작가 등을 연구한다.고전소설의 대표적 작품을 선정하여 그 형성, 전개를 유형별로 분석, 연구한다.한국 현대시를 다각적인 각도에서 조명하여 한국 현대시의 본질을 탐구하며, 미래의 한국시가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한다.한국 현대소설을 다각적인 각도에서 연구하며, 개화기 이후 근·현대소설을 총망라하여 작품 분석한다.국어학사에 있어 시기별에 나타나는 연구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러한 특징적인 연구가 나타난 배경을 연구한다.동방문자 가운데, 우리 민족이 관여해서 만들어진 문자들을 추출해 보고 그 문자들이 만들어진 과정을 연구한다. 아울러, 만·몽 어에서 사용된 표기체계도 살펴본다.현대 국어음운론의 연구 양상과 일반음운에서의 음성·음운 연구 방법을 살펴보고 기존의 국어 음운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본다.현대 국어문법론의 연구 양상과 학계에서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고 기존의 국어 문법 연구의 문제점을 찾아본다. 아울러 새로운 문법 연구 방법도 모색해 본다.한국 고전시가 작품들을 유형별로 새롭게 해석·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전 시가의 양상을 연구한다.한국 고전소설의 개별적인 작품들에 대한 형성, 전개를 유형별로 분석, 연구하여 일반론에서 좀더 심화시킨다. 현대 이론과의 접목을 통해 한국 고전소설 작품만이 지니는 특수성을 모색한다.고대에서부터 최근에 이르는 한국 한문학 작품을 분석, 연구하여 한문학이 한국문학사에 차지한 비중과 역할을 재정립한다.한국 시문학의 작품들을 새롭게 해석, 연구함으로써 시문학의 영역을 확장시켜 나간다.현대문학의 대표적인 장르인 소설에 대하여 여러 문학 방법론을 통하여 분석, 연구한다.개화기에 나타난 소설이 고소설과 현대소설을 잇는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는 전제 아래 그 전통에 대하여연구 한다.개화기의 신문학 형성기로부터 최근에 걸친 한국 현대문학의 발전과 변모를 주요작품을 비롯한 대표작과 작품을 통하여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개괄하고 올바른 세계문학에 이바지할 수 있는 민족문학의 길과 위상을 정립한다.언어에는 보편성과 특수성이 있다. 국어의 특수성을 중점적으로 연구해 왔던 방향에서 각 개별언어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현대언어학의 경향 파악을 통하여 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분명하게 이해하도록 한다.국어의 형태소의 됨됨이, 그 종류 그리고 그것이 결합되어 단어를 형성하는 방법을 연구한다.국어 통사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문성분의 설정과 기본구조의 유형을 파악한다. 그리고 단문과 복문의 구성성분을 각각 밝혀 국어 통사구조상의 특징을 알도록 한다.국어의 내용면인 의미를 대상으로하여 그 구조, 개념 법칙 등의 연구를 한다.일반언어의 관점에서 국어가 지닌 계보상의 위치가 무엇이며, 어떤 언어와 친족관계에 있으며, 그 계통을 소급 할 때에 어떤 분파 관계가 있는가를 연구한다.국어내부에 있어서 상이한 방언을 수집, 구별하여 방언 어형의 지리적 분포를 비교 검토하여 문헌에 나타나지 않은 고어의 재구, 국어의 생멸에 대한 연구를 한다.전통적이고 규범적인 학교문법은 물론, 변형구조적 입장에서 한국 문법에 관한 재정립을 시도한다.조선 세종때 창제된 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제작동기, 제작원리 등을 규명하여 그 구조를 연구한다.훈민정음 창제 당시인 15세기 국어에 대한 음운, 형태, 문법을 종합적으로 연구 규명한다동방문자(한자)가 우리말 표기에 사용되어온 양상을 살펴 보고 그 사용 원리를 연구한다. 아울러 동방문자의 형성과정을 밝혀본다고대로부터 조선조 말기까지의 한국문학의 흐름을 사회문화의 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연구, 토의한다.상고 시가, 향가, 별곡, 여요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시가를 분석, 사적 전개를 연구한다.고소설 이외의 일체의 고전 산문문학을 대상으로하여 그 장르, 특징, 흐름, 형식, 내용 등을 연구한다.문자로 정착되기 이전의 구비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와 구비문학의 위치에 관하여 연구한다.갑오개혁 이후부터 오늘까지의 우리문학의 변천과정을 역사적으로 정리하여 한국 현대문학의 특징, 전통, 외국 문학과의 관계, 사조의 변화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현대문학의 이론을 체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한국문학사의 분기점을 이루는 개화기 문학론을 중심으로 그 사조 및 구조에 대하여 연구한다.문학 작품의 해석과 평가를 위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고 깊이있는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는 동시에 한국문학 비평의 실제적인 응용을 모색한다.한국 현대 작가를 전기적, 사회적, 시대적 환경과 함께 작품적 특질을 밝혀 한국문학의 가치를 재평가한다.훈민정음 이후에 연구되어온 형태·통사 연구의 흐름과 그 배경을 연구한다.비교언어학적 연구방법론에 대하여 연구하며 아울러 국내학자들의 비교언어학 논저를 검토한다.구조주의적 입장과 변형이론에 입각하여 국어구조를 연구한다.언어의 단위형식인 단어의 총체. 즉 어휘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목표로 한다. 연구분야별로는 1) 형태상의일반경향의 연구, 2) 품사의 구성, 문법 기능에 의한 분류, 3) 어휘의 출전에 의한 분류, 4) 의미의 각분야에대한 어휘의 분포 연구, 5) 어떤 일정한 관점에서 산출된 특색있는 어군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통일 신라와 그 이전의 언어 흔적을 보여주는 문헌들을 직접·간접으로 분석·분류해봄으로써 한반도의 언어 상황의 일면을 연구한다.현대 국어 의미론의 연구양상과 일반 의미론의 연구방법을 살펴보고 새로운 국어 의미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 본다.고대에서 개화기 신문학 형성 이전까지의 한국 고전문학의 발전과 변모를 개별 작품들을 통해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개괄하고 올바른 한국문학 전통의 위상을 재정립한다.한국 고전문학사에서 등장하는 작가들의 사상과 문학활동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고전문학사의 위상을 재정립한다.신라시대부터 통일신라간에 형성된 향가에 대해 연구한다. 작품 속에 드러난 양식적 특성과 사상에 특히 주목하고, 표기문자인 향찰에 대한 연구도 아울러 병행하여 한국시가문학사상 향가가 지니는 가치를 재평가한다.고려 말에서 비롯되어 지금에까지 이르는 시조문학에 대해 연구한다. 국문학사에 있어 시가 문학의 절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시조의 양식의 변화, 특질, 작가들의 연구를 통해 한국시가문학의 전통을 확인한다.산문문학이 근간이 되는 설화들을 발굴, 해석하고 그것들의 산문문학으로의 양식적 변이과정을 살펴본다. 외국의 설화들과의 비교연구도 함께 한다.조선시대 가사문학작품의 양식적 특성과 작가에 대해 연구하며, 장르규정에 대한 쟁점들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여 조선조 한국문학의 성격을 규명한다.한국문학과 외국문학과의 영향관계를 면밀히 검토하여 외국문학의 수용관계 및 한국문학의 변용을 연구한다.개화시가에 나타난 여러 유형의 시가를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시 장르의 전통에 대하여 규명한다.신문학 초창기의 작가에서부터 오늘의 작가들에까지 생애와 문학사상을 실증적으로 연구함으로서 현대문학사의 위상을 정립한다.작품성이 우수하고 확고한 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이 지닌 문학적 구조와 가치를 총체적으로 검증하고 규명한다.주요 문학론을 그 생성배경을 검토하고 사적인 의의, 전개과정 등을 연구한다.현대문학의 연구에 요청되는 과제를 제기하고, 그 과제를 세미나를 통하여 공동 연구한다.한국의 현대시사와 시인과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 연구한다한국과 외국의 문학비평방법론을 연구하고 실제로 문학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비평 방법론을 심도 깊게 이해한다.통일신라와 그 이전의 한반도 언어상황에 대하여 연구한다.국어가 겪어 온 변화를 밝혀 그 역사 변천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방법을 규명한다.한국문학 중 한문학에 대하여 연구한다. 우리나라 고대의 한문학으로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작을 분석 연구한다.국문학의 원전자료들을 다각도로 분석, 연구한다.비교 문학의 이론, 방법, 전개, 전망 등을 이해하며 국문학과 외국문학과의 관계 등을 비교 연구한다.우리나라의 문화와 함께 발전해 온 문학을 사상적 위치에서 연구한다.근대 이후 현대까지에 큰 흐름을 이루어왔던 세계의 문예사조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그 특성 등을 탐색한다.이제까지의 여러 문학 방법론을 비교, 비판하고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여 한국현대문학의 지평을 모색한다.교육부의 국어 정책, 특히 표기법 정책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연구한다. 아울러 새로운 국어정책의 방향도 모색해 본다.15세기 문헌에 나타난 방점을 연구하는데, 현대의 각 지방 방언연구를 통하여 상호 관련성을 모색한다.한국 고전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역사적 흐름, 양식, 특질, 작가들에 대한 연구와 장르별, 개념별로 발생했던 쟁점들을 분석, 규명한다.산문문학의 한 장르가 되고 있는 한문소설의 특징과 흐름, 작가들에 대해 연구한다. 국문소설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한문소설의 문학사에서 위치하는 자리를 재정립한다.문학작품과 그 작품의 배경이 되는 사상과의 관련성을 분석, 연구한다.한국의 문학비평에 대하여 외국의 경우와 대비 고찰은 물론 통시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문학비평발전사를 규명한다.
교과코드 교과목명(국문) 교과목명(영문) 학점 과목개요 국문 1601 국어학사연구 (Studies in Korean Linguistic History) 국어학발달사와 연구사를 교육내용으로 하는 강의이다. 국문 1602 국어음운론연구 (Studies in Korean Phonology) 국어의 형식면인 음운을 대상으로 하여, 그 개념, 조직, 법칙, 어조 문제를 연구한다. 국문 1603 한국고전시가연구(시조, 가사연구) (Studies in Korean Classical Poetry)(Sijo & Gasa Poerty) 시조, 가사 및 기타 15세기 이후 19세기까지의 시가를 대상으로하여 한국시의 전통, 역사적 흐름, 주요양식, 시적 특질, 대표적 작가 등을 연구한다. 국문 1604 한국고전소설연구 (Studies in Korean Classical Novels) 고전소설의 대표적 작품을 선정하여 그 형성, 전개를 유형별로 분석, 연구한다. 국문 1605 한국현대시연구 (Studies in Modern Poerty) 한국 현대시를 다각적인 각도에서 조명하여 한국 현대시의 본질을 탐구하며, 미래의 한국시가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한다. 국문 1606 한국현대소설연구 (Studies in Korean Modern Novels) 한국 현대소설을 다각적인 각도에서 연구하며, 개화기 이후 근·현대소설을 총망라하여 작품 분석한다. 국문 1650 국어학사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Linguistic History) 국어학사에 있어 시기별에 나타나는 연구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러한 특징적인 연구가 나타난 배경을 연구한다. 국문 1651 문자학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Authography) 동방문자 가운데, 우리 민족이 관여해서 만들어진 문자들을 추출해 보고 그 문자들이 만들어진 과정을 연구한다. 아울러, 만·몽 어에서 사용된 표기체계도 살펴본다. 국문 1652 국어음운론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Phonology) 현대 국어음운론의 연구 양상과 일반음운에서의 음성·음운 연구 방법을 살펴보고 기존의 국어 음운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본다. 국문 1653 국어문법론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Grammartical Theory) 현대 국어문법론의 연구 양상과 학계에서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고 기존의 국어 문법 연구의 문제점을 찾아본다. 아울러 새로운 문법 연구 방법도 모색해 본다. 국문 1654 한국고전시가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Classical Korean Poetry) 한국 고전시가 작품들을 유형별로 새롭게 해석·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전 시가의 양상을 연구한다. 국문 1655 한국고전소설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Classical Korean Novel) 한국 고전소설의 개별적인 작품들에 대한 형성, 전개를 유형별로 분석, 연구하여 일반론에서 좀더 심화시킨다. 현대 이론과의 접목을 통해 한국 고전소설 작품만이 지니는 특수성을 모색한다. 국문 1657 한국한문학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Sino-Korean Literature) 고대에서부터 최근에 이르는 한국 한문학 작품을 분석, 연구하여 한문학이 한국문학사에 차지한 비중과 역할을 재정립한다. 국문 1658 한국현대시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Contemporary Poetry) 한국 시문학의 작품들을 새롭게 해석, 연구함으로써 시문학의 영역을 확장시켜 나간다. 국문 1659 한국현대소설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Contemporary Novels) 현대문학의 대표적인 장르인 소설에 대하여 여러 문학 방법론을 통하여 분석, 연구한다. 국문 1660 개화기소설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Novels in the Period of Enlightment) 개화기에 나타난 소설이 고소설과 현대소설을 잇는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는 전제 아래 그 전통에 대하여연구 한다. 국문 1661 한국현대문학사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History of Contemporary Literature) 개화기의 신문학 형성기로부터 최근에 걸친 한국 현대문학의 발전과 변모를 주요작품을 비롯한 대표작과 작품을 통하여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개괄하고 올바른 세계문학에 이바지할 수 있는 민족문학의 길과 위상을 정립한다. 국문 1701 언어학이론연구 (Studies in Linguistic Theory) 언어에는 보편성과 특수성이 있다. 국어의 특수성을 중점적으로 연구해 왔던 방향에서 각 개별언어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현대언어학의 경향 파악을 통하여 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분명하게 이해하도록 한다. 국문 1702 국어형태론연구 (Studies in Korean Morphology) 국어의 형태소의 됨됨이, 그 종류 그리고 그것이 결합되어 단어를 형성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국문 1703 국어통사론연구 (Studies in Korean syntax) 국어 통사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문성분의 설정과 기본구조의 유형을 파악한다. 그리고 단문과 복문의 구성성분을 각각 밝혀 국어 통사구조상의 특징을 알도록 한다. 국문 1704 국어의미론연구 (Studies in Korean Semantics) 국어의 내용면인 의미를 대상으로하여 그 구조, 개념 법칙 등의 연구를 한다. 국문 1705 국어계통론연구 (Studies in Genealogy) 일반언어의 관점에서 국어가 지닌 계보상의 위치가 무엇이며, 어떤 언어와 친족관계에 있으며, 그 계통을 소급 할 때에 어떤 분파 관계가 있는가를 연구한다. 국문 1706 국어방언론연구 (Studies in Korean Dialectology) 국어내부에 있어서 상이한 방언을 수집, 구별하여 방언 어형의 지리적 분포를 비교 검토하여 문헌에 나타나지 않은 고어의 재구, 국어의 생멸에 대한 연구를 한다. 국문 1707 국어문법론연구 (Studies in Korean Grammartical Theory) 전통적이고 규범적인 학교문법은 물론, 변형구조적 입장에서 한국 문법에 관한 재정립을 시도한다. 국문 1708 훈민정음연구 (Studies in Hunminjeongeum) 조선 세종때 창제된 훈민정음에 대하여 그 제작동기, 제작원리 등을 규명하여 그 구조를 연구한다. 국문 1709 중세국어연구 (Studies in The middle-Korean Langage) 훈민정음 창제 당시인 15세기 국어에 대한 음운, 형태, 문법을 종합적으로 연구 규명한다 국문 1712 문자학연구 (Studies in Authography) 동방문자(한자)가 우리말 표기에 사용되어온 양상을 살펴 보고 그 사용 원리를 연구한다. 아울러 동방문자의 형성과정을 밝혀본다 국문 1713 한국고전문학사연구 (Studies in Korean Classical Literary History) 고대로부터 조선조 말기까지의 한국문학의 흐름을 사회문화의 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연구, 토의한다. 국문 1714 한국가요연구(향가, 여요) (Studies in Korean Verses : Hyang-ga & Goryeo Verses) 상고 시가, 향가, 별곡, 여요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시가를 분석, 사적 전개를 연구한다. 국문 1715 한국고전산문연구 (Studies in Korean Classical Proses) 고소설 이외의 일체의 고전 산문문학을 대상으로하여 그 장르, 특징, 흐름, 형식, 내용 등을 연구한다. 국문 1718 구비문학연구 (Studies in Korean Oral-Literature) 문자로 정착되기 이전의 구비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와 구비문학의 위치에 관하여 연구한다. 국문 1719 한국현대문학사연구 (Studies in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갑오개혁 이후부터 오늘까지의 우리문학의 변천과정을 역사적으로 정리하여 한국 현대문학의 특징, 전통, 외국 문학과의 관계, 사조의 변화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현대문학의 이론을 체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국문 1720 개화기문학연구 (Studies i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한국문학사의 분기점을 이루는 개화기 문학론을 중심으로 그 사조 및 구조에 대하여 연구한다. 국문 1721 문예비평론연구 (Studies in Literary Criticism) 문학 작품의 해석과 평가를 위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고 깊이있는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는 동시에 한국문학 비평의 실제적인 응용을 모색한다. 국문 1723 한국문학작가론연구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Writers-Theory) 한국 현대 작가를 전기적, 사회적, 시대적 환경과 함께 작품적 특질을 밝혀 한국문학의 가치를 재평가한다. 국문 1750 국어문법사특수연구 (Studies in Korean Grammatical History) 훈민정음 이후에 연구되어온 형태·통사 연구의 흐름과 그 배경을 연구한다. 국문 1751 비교언어학연구 (Studies in Comparative Linguistics) 비교언어학적 연구방법론에 대하여 연구하며 아울러 국내학자들의 비교언어학 논저를 검토한다. 국문 1752 국어구조론연구 (Studies in Korean Structural Theory) 구조주의적 입장과 변형이론에 입각하여 국어구조를 연구한다. 국문 1753 국어어휘론연구 (Studies in Korean Words Theory) 언어의 단위형식인 단어의 총체. 즉 어휘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목표로 한다. 연구분야별로는 1) 형태상의일반경향의 연구, 2) 품사의 구성, 문법 기능에 의한 분류, 3) 어휘의 출전에 의한 분류, 4) 의미의 각분야에대한 어휘의 분포 연구, 5) 어떤 일정한 관점에서 산출된 특색있는 어군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국문 1756 고대국어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Classical Korean Language) 통일 신라와 그 이전의 언어 흔적을 보여주는 문헌들을 직접·간접으로 분석·분류해봄으로써 한반도의 언어 상황의 일면을 연구한다. 국문 1757 국어의미론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Semantics) 현대 국어 의미론의 연구양상과 일반 의미론의 연구방법을 살펴보고 새로운 국어 의미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 본다. 국문 1758 한국고전문학사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고대에서 개화기 신문학 형성 이전까지의 한국 고전문학의 발전과 변모를 개별 작품들을 통해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을 개괄하고 올바른 한국문학 전통의 위상을 재정립한다. 국문 1759 한국고전작가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Classical Korean Authors) 한국 고전문학사에서 등장하는 작가들의 사상과 문학활동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고전문학사의 위상을 재정립한다. 국문 1761 향가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Hyang-ga) 신라시대부터 통일신라간에 형성된 향가에 대해 연구한다. 작품 속에 드러난 양식적 특성과 사상에 특히 주목하고, 표기문자인 향찰에 대한 연구도 아울러 병행하여 한국시가문학사상 향가가 지니는 가치를 재평가한다. 국문 1762 시조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Shi-jo) 고려 말에서 비롯되어 지금에까지 이르는 시조문학에 대해 연구한다. 국문학사에 있어 시가 문학의 절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시조의 양식의 변화, 특질, 작가들의 연구를 통해 한국시가문학의 전통을 확인한다. 국문 1763 설화문학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Folk Narratives) 산문문학이 근간이 되는 설화들을 발굴, 해석하고 그것들의 산문문학으로의 양식적 변이과정을 살펴본다. 외국의 설화들과의 비교연구도 함께 한다. 국문 1765 조선가사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Chosun Ka-sa) 조선시대 가사문학작품의 양식적 특성과 작가에 대해 연구하며, 장르규정에 대한 쟁점들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여 조선조 한국문학의 성격을 규명한다. 국문 1766 비교문학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Comparative Literature) 한국문학과 외국문학과의 영향관계를 면밀히 검토하여 외국문학의 수용관계 및 한국문학의 변용을 연구한다. 국문 1767 개화기시가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Poetry in the Period of enligghtment) 개화시가에 나타난 여러 유형의 시가를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시 장르의 전통에 대하여 규명한다. 국문 1768 한국현대작가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Contemporary Authors) 신문학 초창기의 작가에서부터 오늘의 작가들에까지 생애와 문학사상을 실증적으로 연구함으로서 현대문학사의 위상을 정립한다. 국문 1769 한국현대작품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Contemporary Works) 작품성이 우수하고 확고한 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이 지닌 문학적 구조와 가치를 총체적으로 검증하고 규명한다. 국문 1770 한국현대문학론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Theories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주요 문학론을 그 생성배경을 검토하고 사적인 의의, 전개과정 등을 연구한다. 국문 1771 한국현대문학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현대문학의 연구에 요청되는 과제를 제기하고, 그 과제를 세미나를 통하여 공동 연구한다. 국문 1772 한국현대시인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Contemporary Poet) 한국의 현대시사와 시인과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 연구한다 국문 1775 한국현대비평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Literary Criticism) 한국과 외국의 문학비평방법론을 연구하고 실제로 문학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비평 방법론을 심도 깊게 이해한다. 국문 1810 고대국어연구 (Studies in The old-Korean Language) 통일신라와 그 이전의 한반도 언어상황에 대하여 연구한다. 국문 1811 국어사연구 (Studies in Korean Language History) 국어가 겪어 온 변화를 밝혀 그 역사 변천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방법을 규명한다. 국문 1816 한국한문학연구 (Studies in Sino-Korean Literature) 한국문학 중 한문학에 대하여 연구한다. 우리나라 고대의 한문학으로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작을 분석 연구한다. 국문 1817 한국문학논저연구 (Studies in Korean Literary Treatises) 국문학의 원전자료들을 다각도로 분석, 연구한다. 국문 1822 비교문학연구 (Studies in Comparative Literature) 비교 문학의 이론, 방법, 전개, 전망 등을 이해하며 국문학과 외국문학과의 관계 등을 비교 연구한다. 국문 1824 문학사상연구 (Studies in Literary Thoughts) 우리나라의 문화와 함께 발전해 온 문학을 사상적 위치에서 연구한다. 국문 1825 문예사조연구 (Studies in Literary Current) 근대 이후 현대까지에 큰 흐름을 이루어왔던 세계의 문예사조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그 특성 등을 탐색한다. 국문 1826 문학방법론연구 (Methodological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이제까지의 여러 문학 방법론을 비교, 비판하고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여 한국현대문학의 지평을 모색한다. 국문 1854 국어정책론연구 (Studies in Political Theory of Korean Language) 교육부의 국어 정책, 특히 표기법 정책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연구한다. 아울러 새로운 국어정책의 방향도 모색해 본다. 국문 1855 국어성조론연구 (Studies in Korean Tonetics) 15세기 문헌에 나타난 방점을 연구하는데, 현대의 각 지방 방언연구를 통하여 상호 관련성을 모색한다. 국문 1860 한국고전문학특수문제연구 (Special studies in problem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한국 고전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역사적 흐름, 양식, 특질, 작가들에 대한 연구와 장르별, 개념별로 발생했던 쟁점들을 분석, 규명한다. 국문 1864 한문소설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Sino-Korean Novel) 산문문학의 한 장르가 되고 있는 한문소설의 특징과 흐름, 작가들에 대해 연구한다. 국문소설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한문소설의 문학사에서 위치하는 자리를 재정립한다. 국문 1873 한국문학사상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Thoughts) 문학작품과 그 작품의 배경이 되는 사상과의 관련성을 분석, 연구한다. 국문 1874 한국현대비평사특수연구 (Special studies in History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한국의 문학비평에 대하여 외국의 경우와 대비 고찰은 물론 통시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문학비평발전사를 규명한다.